가상자산/블록체인
블록체인 기본 개념
- 블록체인 = 분산 원장(Distributed Ledger), 분산 장부
- 여러 컴퓨터(노드)에 동일한 거래 기록을 분산 저장
- 누군가 데이터를 조작하려 해도 다수 노드가 검증하므로 위변조가 어려움
- 트랜잭션 (Transaction)
-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모든 “행위” (예: 송금, 토큰 전송, 스마트컨트랙트 실행)
Wallet과 Address
- Wallet: 블록체인 계정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(MetaMask)
- Address: 은행 계좌번호 같은 것 (공개)
- Private Key: 계좌 비밀번호 같은 것 (절대 유출 금지)
- Signature: “내가 진짜 소유자다”를 증명하는 암호학적 증명
Token
블록체인 위에서 발행되는 디지털 자산
- ERC-20: 가장 흔한 토큰 (예: USDT, UNI, AAVE) -> 대체 가능 (Fungible)
- ERC-721 (NFT): 대체 불가능한 자산 (예; NFT 이미지)
거래소 & 시세 데이터
- 중앙화 거래소 (CEX): 업비트, 빗썸, 바이낸스
- 탈중앙 거래소 (DEX): Uniswap, SushiSwap
- 시세 API:
- CoinGecko (무료)
- 업비트/바이낸스 공식 API
스마트컨트랙트 (Smart Contract)
- 블록체인 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
- 예: ‘이 주소로 토큰 전송’ 같은 기능을 코드화해둔 것
- ERC-20 토큰도 사실 스마트컨트랙트임
- .sol 확장자 Solidity 언어로 작성된 스마트컨트랙트 소스 코드 파일
온체인 vs 오프체인
- On-Chain: 블록체인 위 데이터 (잔액, 트랜잭션 기록 등)
- Off-Chain: 블록체인 밖 데이터 (시세, 거래소, 거래량 등)